2021. 11. 6. 20:18ㆍ건강
노로바이러스란?
노로바이러스는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는데 노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면 식중독 증상이 나타납니다. 무엇보다도 주의를 필요로 하는 이유는 사람 간 신체 접촉을 통해서 전파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환경 생존력이 아주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소 이온 농도 3~4에서도 견딜 수 있고, 특히 저온 생존력이 높아 영하 20도 이하에서는 수년 ~ 수십 년 동안 살 수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12~2월 사이에 전체 노로바이러스 감염 발병률의 50%가 이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특정한 계절이나 기간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노로바이러스 역사와 유래
노로바이러스는 1968년 10월 30일 미국의 오하이오주 노워크 브론스 초등학교에서 집단 급식 중 발생한 식중독입니다.
집단 급식을 한 학생과 선생님들 등 총 116명에게서 식중독이 발생하였으며 갑작스러운 구토와 설사를 동반하였습니다.다행히도 며칠간의 치료를 통해서 완쾌되는 듯하였습니다. 그러나, 식중독 발생 후 조사에 따라 전혀 예상하지 못한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집단 급식과 전혀 관계가 없는 식중독 환자의 가족이나 친지 등 120명으로부터 식중독 증상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 것은 단순 식중독이 아니라 전염성이 있는 식중독으로 밝혀졌으며 10여개의 입자만 있어도 급성 위장염으로 번질 수 있는 강력한 식중독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노워크 바이러스(Norwalk Virus)로 명명되었습니다. 이후 유사한 식중독 환자에서 노워크 바이러스와 비슷한 바이러스가 계속하여 발견되었으며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서, 사우스 햄프톤 바이러스, 스노우마운틴 바이러스, 하와이바이러스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1972년 전자현미경으로 밝혀진 당시에는 작고 구형을 띤 바이러스의 형체를 고려해서 원형소체바이러스(small round-structured virus)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그 후 비세균성 급성 위장염의 환자로부터 Norwalk Virus와 닮은 소형 구형 바이러스가 잇달아 발견되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유사노워크바이러스(Norwalk like virus)라 부른적도 있었습니다.
1990년 걸프전 당시 사우디아라비아에 주둔한 미군 환자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어, 그 당시의 작전명을 따라 사막 방패바이러스(desert shield virus)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노로바이러스 특성
특성 1 - 손이 오염되기 쉽고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노로바이러스는 대변. 구토물로 배출되어 배변 및 처리 시 손에 묻기 쉽습니다. 또한 구토 한 번에 대량으로 전염이 가능하며 구토시 최대 3m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외피가 없어서 흔히 사용하는 알코올 손소독제로 파괴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특성 2 - 대변에 대량의 바이스러스가 존재합니다.
노로바이러스는 대변. 구토물로 배출되어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다시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환자의 대변 1g에서 10의 8승만큼의 바이러스가 배출되므로 식품이 극소량의 대변 성분과 접촉해도 많은 사람들에게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파급력을 가집니다.
특성 3 - 감영력이 강하다.
노로바이러스의 대인 간 감염력은 대단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토 한 번에 수백만 개의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어 학교나 군대와 같이 집단생활을 하는 곳에서 특별히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성 4 - 불현성 감염이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감염이 되었으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증상자 중 일부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와 비슷한 양의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성 5 - 증상이 사라진 이후에도 일정 기간 바이러스를 배출한다.
노로바이러스는 증상이 사라진 이후에도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노로바이러스가 발병한 이후에는 최소한 2주 이상의 격리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장기간 바이러스 배출로 인하여 노로바이러스 막는 것이 대단히 어렵습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
식품 섭취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하수, 강물, 바닷물 등으로 세척한 식품(채소, 과일 등)을 날로 먹는 경우
지하수를 끓이지 않고 마시는 경우
패류(조개. 굴 등) 및 해조류를 날로 먹거나 충분히 익히지 않고 먹는 경우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리사가 만든 음식을 충분히 익히지 않고 먹는 경우
사람 간 전파
환자의 건조된 분비물 (분변, 구토물 등)과 접촉하는 경우
대화하면서 침이 튀는 경우
환자와 신체 접촉을 하는 경우 (간호, 악수, 키스 등)
환자와 음식을 나눠먹거나 물건(수건, 식기 등)을 함께 쓰는 경우
노로바이러스 감염 예방 방안
개인위생 관리
* 화장실에 다녀온 후, 외출 후, 음식 조리 및 섭취하기 전에 반드시는 손을 깨끗이 씻는다. 노로바이러스는 작고 표면 흡착력이 강해서 흐르는 물에 최소 30초 이상 비누로 씻어야 합니다.
* 화장실. 변기. 문손잡이 등은 가정용 염소 소독제를 40배 희석한 물로 세척합니다.
*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구토물은 위생용 비닐장갑을 착용하여 치우고 바닥은 반드시 염소소독제로 소독해야 합니다. 환자의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험에 따르면 17일이 경과한 후에도 최대 45%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손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손으로 얼굴 부위를 만지지 않는 게 좋습니다.
* 공공장소에서는 기저귀를 위생적으로 처리합니다.
* 구토. 설사가 심할 경우는 빨리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식품 섭취
* 굴. 조개류. 해조류 등은 가급적 익혀먹고 지하수는 반드시 끊여 마셔야 합니다.
* 음식은 중심온도 8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익혀먹는 게 안전합니다.
*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로 씻고, 흐르는 물에 씻으면 더욱 안전합니다.
식품 조리
* 구토. 설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음식을 조리해서는 안됩니다.
* 조리기구는 열탕 또는 염소액으로 소독. 세척하고 조리대 및 개수대는 중성세제나 물로 200배 희석한 염소 소독제로 세척을 합니다.
노로바이러스 관련 Q&A
Q1. 식품을 건조하면 노로바이러스가 박멸할 수 있나요?
A1. 노로바이러스는 건조한 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조를 시킨다고 해서 노로바이러스를 사라지게 할 수는 없습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 발생 후 12일까지 동일한 장소에서 발견된 경우도 있습니다.
Q2. 겨울에도 끈질기게 살아남는 지독한 노로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을 수 있는지요?
A2. 아직까지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손 씻기를 할 경우 최대 99%까지 씻어낼 수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Q3. 식품을 냉동 및 동결시키면 노로바이러스가 죽나요?
A3. 그렇지 않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냉동실에서 17일이 지나도 노로바이러스가 45% 정도 살아남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냉장 및 동결 조건에서도 감염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4.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은 다시 걸리지 않나요?
A4. 노로바이러스는 단기간(6-14주) 동안만 유지되기 때문에 재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Q5.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가 증상이 사라지면 다른 사람에게 전파할 가능성이 없어지나요?
A5. 그렇지 않습니다. 무증상 상태에서도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전파시킬 수 있습니다.
Q6. 노로바이러스는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나요?
A6. 노로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전파시킬 수 있는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입니다.
Q7. 생굴이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주요 원인식품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그런가요?
A7. 굴이나 조개근 대량의 해수가 들어와 플랑크톤 등의 먹이를 체내에 남겨놓고 출수관에서 배수되는데, 해수 중의 바이러스도 이러한 방식으로 체내에 남아서 농축됩니다. 겨울철에는 굴을 날것으로 먹는 경우가 많아 겨울철에 굴에 의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많이 발생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조숙증과 해결 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1.08 |
---|---|
[인진쑥 효능] 인진쑥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1.07 |
[루테인] 루테인의 소개 및 효능 (0) | 2021.11.02 |
[새싹보리] 새싹보리 효능 (0) | 2021.10.29 |
[산양유] 산양유 효능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