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50)
-
양자 컴퓨터 하드웨어 _ 5가지 기술
양자 컴퓨터를 둘러싼 가장 큰 가장 큰 관심사 중의 하나는 과연 어떤 하드웨어 기술이 최종적인 승자가 될 것인가에 대한 것입니다. 현재는 5개의 자금이 풍부하고 잘 연구된 후보자가 각축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 후보자 중에는 초전도체(Superconductors), Ion-traps (이온 트랩), 포토닉스(Photonics), 양자점(Quantum Dots), 저온 원자(Cold atoms)가 있습니다. 이들 모두는 1990년대의 획기적인 물리적 실험과 실현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다음은 양자 컴퓨터 하드웨어 5가지 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1. Superconductors (초전도체) 2. Ion-traps (이온 트랩) 3. Photonics(포토닉스) 4. Quantum Dots (양자점) 5. Co..
2022.01.06 -
양자 컴퓨터 R&D(연구) 분야 _ 4 개 영역
양자 컴퓨터는 현재 전통적인 컴퓨터가 해결하지 못하는 많은 난제들을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 속에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엄청난 R&D 투자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터는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전통적인 개념의 컴퓨터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대신 기존의 컴퓨터가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사용될 것이며 전통적 컴퓨터와 공존할 것입니다. 다음은 앞으로 수 십년간 양자 컴퓨터가 어떤 문제에 집중적으로 연구 되어질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논의에 앞서, 양자 컴퓨터가 해결해야 할 문제점에 대하여 명확하게 합의된 점은 없으나 BCG는 아래와 같이 4개를 중심으로 집중해서 연구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BCG 보고서 발췌 _ What hap..
2022.01.04 -
채권 수익률 변동요인 _외적 요인
채권 수익률 변동요인 중 지난 시간에는 내적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이번에 채권 수익에 변화를 주는 외적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국고채는 위험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발행 주체의 채무 불이행 위험인 비체계적 위험이 없다는 의미이지 시장 자체의 위험이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여러 국가에서 발행한 국채 수익률이 서로 다른 것은 바로 각 나라가 처한 체계적 위험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거시 경제적 요인인 체계적 위험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기 동향 2. 물가 동향 3. 통화 수준(정부의 금융정책) 4. 국제 금리 동향 5. 환율 동향 6. 금융시장 사건 (Event) 1. 경기동향 일반적으로 경기 동향은 경..
2022.01.02 -
채권 수익율 변동요인_내적 요인
채권의 가격은 채권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채권 수익률을 통해서 산정됩니다. 따라서, 채권 수익률의 변동은 채권 가격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채권 수익률은 빈번하게 변동되고 있어 이것을 얼마나 잘 이용하느냐에 따라 채권투자의 수익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채권 투자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채권 수익률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예측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채권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채권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별 채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내적 요인과 일반 경제 여건 변화에 의한 외적 요인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는 채권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중 내적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만기까지의 잔존기간 2. 채무 불이행 위..
2022.01.01 -
밸류에이션 지표 5가지 ( PER, PBR, PSR, PDR, EV/EBITDA)
주식의 적정 가치를 가늠하는 방법론을 통칭해서 밸류에이션이라고 부릅니다. PER, PBR, PSR, EV/EBIDTA등과 같은 상대 비교 방법론들이 흔히 쓰이고 기업이 향후에 벌어들일 현금 흐름에 대한 예측을 기반으로 한 할인된 현금 흐름 모델도 사용됩니다. 가치주 성장주 등 각각의 기업이 속한 비니즈스 속성에 따라 판단을 요하는 지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지표들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밸류에이션을 평가를 위한 지표 5가지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1. PER 2. PBR 3. PSR 4. EV/EBITDA 5. PDR 1. PER PER(Price to Earning Ratio) 주가수익률은 주가를 기업이 벌어들일 주당 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으로 나눠서..
2021.12.18 -
ETF 투자시 유의 사항 _ 6가지
최근들어 ETF에 투자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ETF투자를 할 경우 반드시 유의 해야할 사항 6가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원본 손실 위험 2. ETF상장 폐지 위험 3. ETF 운용사와 상품에 따른 수수료 차이 4. ETF의 유동성 공급자의 호가가 없는 시간 5. 운자재 선물 거래시 발생하는 롤오버 비용 6. 레버리지 ETF의 역복리 효과 1. 원본 손실 위험 저렴한 비용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시장에서 매매되므로 환금성이 보장된다는 측면에서 개인 투자자등을 중심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러한 ETF는 기초 지수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투자 상품입니다. 그러나, 기초지수가 하락하는 경우 ETF의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지수를 그대로 추종해야 하므로, 손실을 ..
2021.12.16